티스토리 뷰
목차
롤드컵을 넘어선 새로운 축제, EWC 2025 리그 오브 레전드 완벽 분석! (선수 정보 및 중계 링크 추가)
전 세계 e스포츠 팬들의 심장을 뛰게 할 초대형 이벤트, '이스포츠 월드컵 2025 (Esports World Cup 2025, 이하 EWC 2025)' 리그 오브 레전드(이하 LoL) 부문이 드디어 막을 올렸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펼쳐지는 이번 대회는 기존의 롤드컵과는 차원이 다른 새로운 포맷과 엄청난 상금 규모로 벌써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오늘은 EWC 2025 LoL 부문의 모든 것을 상세히 파헤쳐, 여러분의 완벽한 시청 경험을 돕겠습니다.
1. EWC 2025, LoL e스포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열다!
EWC 2025는 단순한 게임 대회를 넘어, 여러 종목의 e스포츠를 한데 모아 진행하는 전례 없는 규모의 월드컵입니다.
그 중에서도 LoL은 단연 핵심 종목으로, 전 세계 최강의 팀들이 자존심을 걸고 격돌하는 무대입니다.
특히 2024년 우승팀인 T1을 필두로, MSI 2025 우승팀 젠지, 그리고 한화생명e스포츠까지, 쟁쟁한 한국 팀들이 대거 참가하여 팬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습니다.
대회 개요:
- 대회 기간: 2025년 7월 16일 (수) ~ 7월 20일 (일)
- 개최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STC e스포츠 아레나
- 주최/주관: 사우디아라비아 e스포츠 연맹, ESL FACEIT 그룹
- 총 상금: 약 200만 달러 (LoL 부문)
- 1위: $600,000
- 2위: $320,000
- 3위: $230,000
- 4위: $160,000
- 5-8위: 각 $110,000
- 9-10위: 각 $75,000
- 11-12위: 각 $50,000
- 참가팀: 총 12개 팀
- MSI 2025 상위 4개 팀 (플레이오프 직행)
- MSI 2025 5-10위 팀 및 기타 지역 상위 팀 (그룹 스테이지 참가)
- 2024 EWC 우승팀 (T1, 2025 MSI 성적 무관 플레이오프 직행 시드 확보)
이번 EWC 2025는 개별 종목 우승팀에게 주어지는 상금 외에도, 모든 종목의 성적을 합산하여 최고의 클럽에게 'EWC 챔피언십' 타이틀을 수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는 팀 단위의 경쟁을 더욱 심화시키고, e스포츠 구단 전체의 역량을 겨루는 새로운 재미를 선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2. 대회 포맷: 그룹 스테이지부터 웅장한 결승까지!
EWC 2025 LoL 부문은 크게 그룹 스테이지와 플레이오프, 그리고 대망의 결승전으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각 단계마다 긴장감 넘치는 경기 방식과 흥미로운 대진이 팬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가. 그룹 스테이지 (7월 16일 ~ 7월 17일)
- 참가팀: 8개 팀 (MSI 2025 5-8위 팀, LCK 3위 팀 한화생명e스포츠, LTA 북부 2위 팀 등)
- 진행 방식:
- 8개 팀을 4팀씩 2개 그룹(A조, B조)으로 나누어 진행됩니다.
- 각 조는 GSL 방식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진행됩니다. (2승 달성 시 플레이오프 진출)
- 모든 경기는 단판(Bo1)으로 진행되어 예측 불가능한 변수를 제공합니다.
- 동일 지역 팀은 같은 그룹에 배정되지 않습니다.
- 진출 팀: 각 조의 상위 2개 팀, 총 4개 팀이 플레이오프에 진출합니다.
현재 그룹 스테이지 상황 (7월 18일 오전 11시 기준):
그룹 스테이지는 현재 모두 종료되었으며, 플레이오프 진출 팀이 확정되었습니다.
- A조: G2 Esports (LEC), FlyQuest (LTA North)
- B조: Hanwha Life Esports (LCK), Movistar KOI (LEC)
나. 플레이오프 (7월 17일 ~ 7월 20일)
- 참가팀: 총 8개 팀
- MSI 2025 상위 4개 팀 (Gen.G, T1, Bilibili Gaming, Anyone's Legend)
- 그룹 스테이지를 통과한 4개 팀
- 진행 방식:
- 8강부터 단일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8강과 4강 경기는 3전 2선승제(Bo3)로 진행되어 더욱 심도 깊은 전략 싸움을 볼 수 있습니다.
- 대진표 구성:
- MSI 상위 시드팀들은 8강전에서 그룹 스테이지 통과팀들과 맞붙게 됩니다.
- 현재 공개된 대진표에 따르면, T1과 젠지가 다시 맞붙는 시나리오는 결승전에서 가능합니다. 이는 많은 팬들이 기다리는 꿈의 매치업이 될 것입니다.
플레이오프 대진표 (현재까지 공개된 정보 기반):
8강 | 4강 | 결승 |
---|---|---|
8강 1경기 (7/17) | ||
HLE (B조 1위) vs AG.AL (MSI 3위) | 4강 1경기 (7/19) | |
(8강 1경기 승자) vs (8강 2경기 승자) | 결승 (7/20) | |
8강 2경기 (7/17) | (4강 1경기 승자) vs (4강 2경기 승자) | |
G2 (A조 1위) vs BLG (MSI 4위) | ||
4강 2경기 (7/19) | 3위 결정전 (7/20) | |
8강 3경기 (7/18) | (8강 3경기 승자) vs (8강 4경기 승자) | (4강 1경기 패자) vs (4강 2경기 패자) |
Movistar KOI (B조 2위) vs T1 (MSI 2위) | ||
8강 4경기 (7/18) | ||
Gen.G (MSI 1위) vs FlyQuest (A조 2위) |
* 참고: 대진표는 공식 발표 및 경기 진행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현재 확인된 정보는 위와 같습니다.
다. 결승 및 3위 결정전 (7월 20일)
- 진행 방식:
- 결승전은 5전 3선승제(Bo5)로 진행되어 마지막까지 최고의 집중력과 팀워크를 요구합니다.
- 결승전 패자들은 3위 결정전을 통해 마지막 자존심을 건 승부를 펼칩니다.
- 경기 시간: 결승전은 한국 시간으로 7월 20일 일요일 20:00에 시작될 예정입니다.
3. 주요 참가팀 및 주목할 선수: 누가 왕좌에 오를 것인가?
총 12개 팀이 참가하여 치열한 경쟁을 펼치는 EWC 2025 LoL 부문, 각 팀의 면면과 주요 관전 포인트를 짚어봅니다.
플레이오프 직행 시드 팀:
- Gen.G (LCK): MSI 2025 우승팀이자 LCK의 강력한 챔피언. 현재 23연승이라는 압도적인 기록을 자랑하며, 이번 대회에서도 가장 유력한 우승 후보로 손꼽힙니다.
- 주목할 선수: '룰러(Ruler)' 박재혁 (ADC), '기인(Kiin)' 김기인 (Top), '쵸비(Chovy)' 정지훈 (Mid), '캐니언(Canyon)' 김건부 (Jungle), '리헨즈(Lehends)' 손시우 (Support) 등 베테랑과 신예의 조화가 돋보입니다.
- T1 (LCK): 2024 EWC 챔피언이자 2025 MSI 준우승팀. '페이커' 이상혁 선수를 필두로 디펜딩 챔피언의 위엄을 보여줄지 기대됩니다. MSI에서의 아쉬움을 씻어내고 다시 한번 왕좌에 오를 수 있을까요? 젠지와의 리매치가 성사된다면 엄청난 흥행을 불러올 것입니다.
- 주목할 선수: '페이커(Faker)' 이상혁 (Mid), '제우스(Zeus)' 최우제 (Top), '오너(Oner)' 문현준 (Jungle), '구마유시(Gumayusi)' 이민형 (ADC), '케리아(Keria)' 류민석 (Support) 등 전원 월드 챔피언 경력을 가진 최강의 로스터입니다.
- Bilibili Gaming (LPL): LPL의 강호이자 MSI 2025 4위 팀. 저돌적인 플레이와 예측 불가능한 변수 창출 능력으로 언제든 상위권을 위협할 수 있는 팀입니다.
- 주목할 선수: '빈(Bin)' 천쩌빈 (Top), '나이트(Knight)' 주딩 (Mid), '엘크(Elk)' 자오지아하오 (ADC) 등이 팀의 핵심 선수입니다.
- Anyone's Legend (LPL): MSI 2025 3위 팀. LPL 특유의 공격적인 스타일을 보여주며 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번 EWC에서도 다크호스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 주목할 선수: '플랑드레(Flandre)' 리쉬안쥔 (Top), '타잔(Tarzan)' 이승용 (Jungle) 등 한국 선수들의 활약도 기대됩니다.
그룹 스테이지 통과 팀:
- Hanwha Life Esports (LCK): LCK의 또 다른 강팀으로, 그룹 스테이지에서 인상적인 경기력을 보여주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습니다. 탄탄한 기본기와 뛰어난 팀워크를 바탕으로 이번 대회에서 어디까지 올라갈 수 있을지 기대됩니다. LCK 팬들에게 T1, 젠지와 함께 3강을 이루며 좋은 성적을 기대하게 합니다.
- 주목할 선수: '피넛(Peanut)' 한왕호 (Jungle), '제카(Zeka)' 김건우 (Mid), '바이퍼(Viper)' 박도현 (ADC), '딜라이트(Delight)' 유환중 (Support) 등 베테랑과 젊은 피가 조화를 이룹니다.
- G2 Esports (LEC): 유럽 LEC의 명문 팀. 창의적인 밴픽과 예측 불가능한 전략으로 늘 팬들을 즐겁게 하는 팀입니다. 그룹 스테이지를 순조롭게 통과하며 플레이오프에서의 활약을 예고했습니다.
- 주목할 선수: '캡스(Caps)' 라스무스 윈터 (Mid), '한스사마(Hans Sama)' 스티븐 리브 (ADC) 등 유럽 최고의 선수들이 포진해 있습니다.
- FlyQuest (LTA North): 북미의 떠오르는 강팀. 그룹 스테이지에서 경쟁력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플레이오프에 안착했습니다. 상위권 팀들을 상대로 어떤 이변을 만들어낼지 기대됩니다.
- 주목할 선수: '비위포(Bwipo)' 가브리엘 라우 (Top), '인스파이어드(Inspired)' 카츠페르 스워마 (Jungle) 등이 팀의 주요 선수입니다.
- Movistar KOI (LEC): LEC의 또 다른 대표 주자. 그룹 스테이지에서 한화생명e스포츠에 밀려 2위로 통과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저력을 보여줄 수 있는 팀입니다.
- 주목할 선수: '미르윈(Myrwn)' (Top), '엘요야(Elyoya)' (Jungle), '조조편(Jojopyun)' (Mid) 등이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합니다.
주요 관전 포인트:
- LCK 팀들의 강세: 젠지, T1, 한화생명e스포츠까지 세 팀 모두 강력한 우승 후보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이들이 과연 압도적인 실력으로 EWC를 제패할 수 있을지, LCK 내전이 성사될지도 큰 관심사입니다.
- 지역별 자존심 대결: LCK, LPL, LEC, LTA 등 각 지역의 대표 팀들이 최고의 기량을 뽐내며 지역별 자존심 대결을 펼칠 것입니다. 특히 한국과 중국 팀들의 맞대결은 매번 뜨거운 이슈를 낳습니다.
- '피어리스 드래프트' 도입 여부: EWC LoL 부문은 '피어리스 드래프트' (Fearless Draft)라는 새로운 밴픽 시스템 도입 가능성이 언급되었습니다. 이는 한 번 사용한 챔피언은 다시 사용할 수 없게 하는 룰로, 팀들의 챔피언 폭과 전략적 다양성을 시험하며 더욱 흥미로운 경기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현재 정보로는 MSI에서 피어리스 드래프트가 적용되었고, EWC에서는 결승전을 제외한 플레이오프에서 Bo3 경기는 일반 밴픽 방식, 결승전 Bo5에서 피어리스 드래프트 적용 여부는 확인 필요.)
- 새로운 스타의 탄생: 국제 무대에서 빛을 발하며 새로운 스타로 떠오르는 선수들이 나올지 지켜보는 것도 중요한 관전 포인트입니다.
4. 시청 방법 및 중계 링크
EWC 2025 LoL 부문 경기는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생중계됩니다.
- 한국어 독점 중계:
- 네이버 치지직: https://chzzk.naver.com/ (EWC 공식 채널 또는 e스포츠 관련 채널을 검색하여 시청 가능)
- 공식 영어 및 다국어 중계:
- Esports World Cup 공식 웹사이트: https://esportsworldcup.com/ (경기 일정 및 중계 링크 확인 가능)
- Esports World Cup YouTube 채널: https://www.youtube.com/esportsworldcup
- Esports World Cup Twitch 채널: https://www.twitch.tv/esportsworldcup
경기 일정에 맞춰 시청 플랫폼을 확인하시고, 원하는 언어의 중계를 선택하여 몰입감 넘치는 경기를 즐기시면 됩니다. 특히 치지직에서는 공식 중계 외에도 선호하는 스트리머의 해설이나 시청자 채팅을 곁들여 시청할 수 있는 '같이보기' 콘텐츠도 제공하니 참고하세요.
5. 마무리하며: 롤 e스포츠의 새로운 역사가 시작된다!
EWC 2025는 단순한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를 넘어, e스포츠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중요한 발자취가 될 것입니다. 엄청난 상금과 새로운 대회 포맷, 그리고 전 세계 최고의 팀들이 펼치는 치열한 경쟁은 팬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할 것입니다.
이번 주말까지 이어지는 EWC 2025 LoL 부문 경기들을 놓치지 마세요! 과연 어떤 팀이 2025년 EWC 챔피언의 영광을 안게 될지, 그 흥미진진한 여정을 함께 지켜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