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제61회 백상예술대상 주요 내용 정리

    2025년 5월 5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D홀에서 제61회 백상예술대상이 열릴 예정입니다.

    JTBC, JTBC2, JTBC4를 통해 생중계될 이번 행사는 이탈리아 럭셔리 브랜드 구찌(Gucci)가 3년 연속 공식 파트너로 참여해 더욱 빛을 더했습니다.

    올해 백상예술대상은 여러모로 의미 있는 변화를 맞이했는데요,

    특히 TV 부문방송 부문으로 명칭을 변경하며 OTT 및 웹 콘텐츠까지 포괄하는 심사 체계를 도입했습니다.

    2024년 4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지 방영되거나 공개된 작품을 대상으로,

    전문 평가위원 60명의 설문조사 및 전문가 심사를 통해 후보작과 수상자가 결정되었습니다.


     

    방송 부문 주요 후보작

    드라마 작품상 후보

     

    • tvN: 《선재 업고 튀어》
    • JTBC: 《옥씨부인전》
    • MBC: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 《폭싹 속았수다》

     

     

    예능 작품상 후보

    • tvN: 《무쇠소녀단》
    • Mnet: 《스테이지 파이터》
    • 넷플릭스: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
    • 뜬뜬: 《풍향고》
    • 추성훈 프로젝트: 《아조씨의 여생》

     

    교양 작품상 후보

    • EBS: 《다큐프라임 - 내 마지막 집은 어디인가》
    • 웨이브(Wavve): 《모든패밀리》
    • 원주MBC: 《바람되어, 다시 너와》
    • SBS: 《스페셜 - 학전 그리고 뒷것 김민기》
    • 티빙(TVING): 《샤먼: 귀신전》

    영화 부문 주요 후보작

    작품상 후보

    • 《대도시의 사랑법》
    • 《리볼버》
    • 《장손》
    • 《전,란》
    • 《하얼빈》

    감독상 후보

    • 박이웅 감독
    • 오승욱 감독
    • 우민호 감독
    • 이언희 감독
    • 이종필 감독

     

    주요 연기상 후보

    방송 부문 최우수 연기상(남자)

    • 박보검 (《폭싹 속았수다》)

    • 변우석 (《선재 업고 튀어》)

    • 이준혁 (《동재》)
    • 주지훈 (《중증외상센터》)
    • 한석규 (《의심》)

    방송 부문 최우수 연기상(여자)

    • 아이유 (《폭싹 속았수다》)

    • 김혜윤 (《선재 업고 튀어》)

    • 고민시 (《아무도없는숲속에서》)
    • 김태리 (《정년이》)
    • 장나라 (《굿 파트너》)

    영화 부문 최우수 연기상(남자)

    • 윤주상
    • 이병헌
    • 이희준
    • 조정석
    • 현빈

    영화 부문 최우수 연기상(여자)

    • 김고은
    • 김금순
    • 송혜교
    • 전도연
    • 조여정

    올해 백상예술대상의 특징과 트렌드

    올해 백상예술대상은 여러 트렌드 변화를 반영했습니다.
    무엇보다 OTT 플랫폼의 약진이 두드러졌습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인 《폭싹 속았수다》와 《중증외상센터》, 그리고 아이유와 박보검이 주연한 《폭싹 속았수다》가 다수 부문 후보에 오르며 OTT의 위상을 재확인시켰습니다.

    이처럼 방송 부문에서도 지상파와 종편 중심이 아닌, 다양한 플랫폼 작품이 골고루 주목받는 현상이 뚜렷했습니다.

    또한 드라마 부문에서는 웹툰이나 웹소설 원작 작품들의 강세가 계속되었습니다.

    특히 《선재 업고 튀어》는 인기 웹소설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젊은 층의 큰 사랑을 받았고,

    이번 백상에서도 여러 부문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영화 부문에서는 장르 다양성과 새로운 시도가 돋보였습니다.

    《대도시의 사랑법》 같은 감성 멜로부터, 《하얼빈》 같은 대작 스케일의 역사물까지 고루 주목받았으며,

    기존 강자들과 신진 감독들의 조화가 인상적이었습니다.


    주목할 만한 사실

    •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는 총 9개 부문 후보에 오르며 올해 최다 노미네이션 기록을 세웠습니다.
    • 《선재 업고 튀어》로 주목받은 변우석과 김혜윤은 신인답지 않은 탄탄한 연기로 최우수 연기상 후보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 영화 부문에서는 《하얼빈》에 출연한 현빈과 이병헌이 함께 남우주연상 후보에 올라 뜨거운 관심을 받았습니다.

    마무리

    제61회 백상예술대상은 단순한 시상식을 넘어, 대한민국 대중문화 콘텐츠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는 자리였습니다.
    OTT, 방송, 영화, 연극 등 다양한 플랫폼과 장르가 경계를 넘나들며 진화하고 있음을 실감할 수 있었던 행사였지요.
    다가올 시상식 결과와 수상자들의 수상 소감에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앞으로 대한민국 엔터테인먼트 산업이 어떤 새로운 흐름을 만들어갈지 기대가 됩니다.